작성자 : 한강동물병원 ()
작성일 : 2001/03/29 15:04
사람의 의학에서처럼 수의학에서도 수혈에 따른 이점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헐액이나 그 구성 성분들은 순환기계통에 문제가 있는 동물이나, 응급상황에 처한 동물들에게 새로운 기원을 열어 주고 있다. 앞으로 수혈에 대한 기술이나 관심은 점차적으로 늘어갈 것이다.
technician들은 수혈을 실시함에 있어서 공혈자의 인자와 HBOC(hemoglobin-based oxygen carrier)가 수의학분야에서 새로운 인공혈액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이 글에서는 수혈의 역사와 채혈기술, 일반적인 개의 혈액에 의한 질병, 수혈이 가능한 경우 등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한다.
history of transfusion medicine
donor consideration
비록 수의학에서 혈액의 성분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또한 새로운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아직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여러 문제점 중 가장 큰 문제점은 혈액의 성분들을 분리하기 위한 전문적인 장비들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많은 수의학 연구소들은 공혈견과 설비, 전문적으로 분리된 성분들을 가지고 있다. 몇몇 상업적 동물 혈액은행은 애완견뿐만 아니라 실외견에 대한 자료도 있다. 혈액은 4∼5주마다 모아진다. 그러나 PCV는 공혈전에 검사한다. 실외 공혈견은 일반적으로 혈액을 가져올 때 검사하고, 실내 공혈견은 매일 또는 혈액을 뽑을 때마다 검사한다. 대부분의 채혈은 대략 40분간 행해진다. 모든 개는 그들이 처음으로 공혈하기전에 혈액형을 검사해야한다. 개들은 적어도 12개의 혈액형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계속적으로 새로운 발견자들에 의해서 증가하고 있다. 초기에는 그들의 혈통과 유사한 알파벳을 붙였었다. 그 뒤에 혈액형 type을 DEA(dog erythrocyte antigen)으로 고정되었다. 그리고 각각의 혈액형은 숫자로 붙였다. (ex. DEA-1........) 수의학에 있어서 공혈자들의 혈액형이 계속적으로 발견되는 것은 시약의 부족에서 야기된다. 가장 많은 공혈견의 혈액형은 DEA-1 이다. 하나의 kit로 검사를 해서 두 가지 type이 나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DEA-1.1과 DEA-1.2로 분류한다.
두 가지 시약 중 하나의 시약에만 반응하는 개의 혈액형은 A-positive로 정해진다. 시약에 반응하지 않는 것은 A-negative 이다. A-positive를 가지는 개는 거의 50%에 도달한다. 그리고 그들은 A-positive에 수혈 할 수 있다. 이때는 수혈견의 혈액형을 알아야 한다. 만약 수혈견의 혈액형을 알 수 없을 경우는 A-negative만 수혈 할 수 있다. DEA-7이 나왔을 경우(45%)는 간단히 수혈을 해서는 안된다. 이들은 다른 항원들과 약하게 반응하거나, 폭넓게 반응하거나, 강한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킨다. alloantibody는 다른 혈액 항원들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만약 공혈자의 혈액형이 A-negative로 알려져 있다면 응집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왜냐하면 혈액형의 type이 모두 알려져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혈을 받은 후 약 4일간은 교차응집반응이 일어나는가를 지켜보아야 한다. 공혈자의 적혈구와 수혈자의 혈장의 반응에 의해 (이전에 수혈 받았던 혈구에 의해서) 일어난다.
BLOOD COLLECTION
채혈을 할 때 공혈자는 옆쪽이나 앞쪽에 위치시킨다. 가능한 편안한 자세로 진정을 시킨다. 경정맥을 피부위로 노출시킨 후 채혈장비의 공기를 제거하고 멸균상태를 유지한다. 채혈은 16-gauge를 이용해서 한다. 공혈자는 table 위에 위치시키고 혈액bag은 저울 위에 놓고 무게를 측정 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수집한 혈액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서이다. 바늘을 경정맥에 넣은 후 지혈 겸자를 제거한다. Bag은 400∼495까지 채울 수 있다. (1 gram은 1㎖이다.) 그 이상이 되면 응고 방지제가 부족하다. bag이 가득 차면 바늘을 제거한다. 혈액 채혈선은 봉한 후 항응고제와 혈액을 섞어준다. 2∼3㎝간격으로 서너 군데를 봉한 후 교차반응 시험을 위해 혈액을 채취한다. 채혈이 끝난 뒤 보조자는 거즈로 채혈부위를 5분간 눌러주면 지혈이 된다. 채혈이 완료되면 공혈자에게 물과 비스켓을 준다.
다음 채혈 때는 반대쪽 경정맥을 이용한다. 공혈자는 채혈하기 전 4∼5주 동안 정상적인 PCV를 유지하는 개에서 채혈한다.
전혈은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성분으로 분리된다. PRC, FFP, FP, 응고 침전물, PRP등으로 분리된다.
1. packed red cell
채혈 후 혈액은 5000g로 15분간 원심분리 후 다시 5분간 방치한다. 추출기를 사용해서 혈장과 PRC로 분리한다. 이때 double bag system을 사용한다. 혈장은 천천히 압착하여 비운 뒤 보조 bag과 tube는 봉인한다. PRC는 4℃에서 30일간 보존이 가능하다.
2. fresh frozen plasma and frozen plasma
혈장은 채혈 후 6시간이 지난 뒤 PRC에서와 같이 분리한다. FFP는 -20℃에서 1년간 보존가능하고, 1년이 지난 후에는 냉동해서 4년간 보관 가능하다. FFP와 FP의 차이점은 몇 가지 응고 인자의 방출(제거)과 보관 후 1년이 지났을 때 응집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3. cryoprecipitate (응고 침전물)
응고 침전물은 제 Ⅷ 인자, von Willebrand's, fibrinogen, fibronectin등의 인자가 농축된 것이다. 혈액이 침전되었을 때 triple bag system을 사용해서 분리한다. PRC와 FFP는 이전상태로 준비되어있다. FFP를 냉각시킨 후 천천히 녹일 때 만들어진다.
Administration (수혈)
1. fresh whole blood
신선한 전혈은 혈소판, 적헐구, 응고인자를 요구하는 환축에게 필요하다. 신선한 전혈은 채혈한지 8∼12시간 사이의 혈액을 이야기한다. 이유는 혈소판이나 몇몇 응고인자는 약품 내에서 신속히 불활화되기 때문이다. 전혈이 수혈되었을 때 PCV는 같은 양의 PRC로부터 획득한 양의 절반 가량 증가한다.
2. packed red cells
PRC는 빈혈상태가 심한 동물에 공급한다. 빈혈상태에 따라 필요한 PRC의 양이 결정된다. 급격하게 많은 양의 혈액을 잃어버린 환축은 죽을 수도 있다. (PCV가 떨어지고 혈색소의 농축, 적혈구의 감소로 인해서이다.) 따라서 혈압은 어느 정도의 혈액이나 수액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이다. 선천적인 만성빈혈상태에 있는 환축에서 PCV는 전체적인 적혈구의 수치에 대해 알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다. 그러나 수혈은 환축의 PCV보다 실제로 보여지는 임상적 상태에 더 의존한다. PCV가 20% 부족한 개 (조직학적 증상도 함께 나타난다.)와 PCV는 유사하지만 조직학적 증상은 없는 개의 차이점으로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1㎖/㎏의 PRC가 증가하면 PCV가 1% 정도 낮아진다. 혈액을 공급해주는 속도는 다양하다. 수분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시간당 10㎖/㎏으로 공급한다. (이것은 전혈을 공급하는 경우이다.) 수혈속도는 초기에는 천천히 공급하고 환축이 이상반응 보일 때도 속도를 느리게 한다. 혈액은 수혈전에 체온과 같은 온도로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겨드랑이에 넣고 있거나 인큐베이터에서 10분간 데운다. PRC는 40℃에서 데워서는 안된다. 세포가 파괴되기 때문이다.
3. plasma and cryoprecipitate
거의 10∼20㎖/㎏의 FFP나 FP는 응고인자가 요구되거나 지속적으로 수혈을 계속해야할 경우 사용된다. 혈장은 혈장단백질의 원료로 사용 할 수 없다. (단백질 성분이 없기 때문이다.) 포도당이나 hetastarch는 혈장단백질의 좋은 원료이다. 응고 침전인자들은 하나의 단위 (unit)로 제품화되어서 나온다. 이것은 FFP 한 unit를 거꾸로 매달아 침전시키면 20∼30㎖의 침전물이 얻어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one unit는 10㎏에서 20㎏의 환축에 적당하다. 만일 필요하다면 더 추가한다.
monitoring and complications
면역학적 반응은 상반된 적혈구, 백혈구, 혈장성분에 의해 일어난다. 만약 수혈자가 공혈자의 적혈구등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다면 수혈된 적혈구는 혈관 내에서 파괴될 것이다. 그 결과 혈색소의 부족과 혈색소뇨증이 형성된다. 항원항체결합 반응은 수혈 후 20분 이내에 주로 발생한다. 수혈은 처음 반응이 있을 때 멈추어야 한다. 호흡곤란 증새가 보이는 환축은 산소를 공급시켜준다. 만약 열이 있는 경우는 혈액의 색깔을 관찰하고 gram staing, 배양, 감수성 시험을 해봐야 한다. 환축의 상태에 대한 관찰 (혈색소 결핍, 혈색소뇨증)을 계속해라. 만약 응집반응이 의심되면 즉각적으로 조치를 취해라.
용혈반응이 서서히 일어날 수 도 있다. 이것은 수혈된 적혈구중 생존하는 것의 수가 적어지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몇 일 동안 PCV치가 떨어지는 경우이다. 용혈반응이 없을 수도 있다. 이것은 부적절한 취급, 투약, 혈액의 잘못된 보관 때문이다. 어떤 때는 기침을 하거나 호흡곤란을 일으킨다. 이것은 수혈량이 넘었다는 징조다.
보관된 혈액과 수혈하는 혈액은 조심해서 다루어라 수액bag은 외부오염원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혈액과 그 성분은 수혈 set안에서 보관되어야 한다. 수혈하기 전에 체온과 같게 하는 것이 좋다. 혈액과 혈액성분은 약품이나 수분등의 잠재적 감염원에 노출되어서는 안된다. 건강한 개에서 산소를 가지는 조직은 심장, 폐, 순환혈액이다. 혈색소(적혈구내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일종)는 폐로부터 산소를 운반한다. 그리고 모세혈관에 있는 조직에 산소를 가져다준다. 빈혈이 있는 개에서 산소 해리 system은 적혈구의 부족에 의해서 방해받는다. 따라서 심장 모세 혈관계에서의 직접적인 혈액교환으로 보상한다. 산소공급상태가 좋지 않은 조직에서 세포는 무호흡 상태가 된다. 빈혈은 무호흡 상태를 보고 알 수 있다.
수혈을 이용한 치료는 빈혈이나, 혈액이 소실된 개의 상태를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개의 혈액형이 DEA-1.1 이고, 항원항체 반응이 확실할 경우 수혈한다. 대학이나 상업적인 혈액은행은 현대적인 수혈 장비를 가지고 있다. 대학병원이나 개인적인 혈액 은행들은 일반적인 동물병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공 혈액을 만들고 있다. 인공혈액은 재료의 한계가 있다. 그리고 응집반응이 일어날 우려가 많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인공수액에 대한 기대는 매우 크다.
HBOC는 개에서의 인공혈액의 자격이 있다. HBOC의 혈색소는 산소와 쉽게 해리 된다. 정상적인 동물에서 98%의 산소는 혈액이 운반하고 단지 2%만이 혈장 단백질에 의해 운반된다. HBOC에서의 산소 포화농도가 높은 곳은 혈장이다. 부과적으로 HBOC에서는 점도가 낮아서 모세 혈관과 조직에서 산소 해리가 더욱 쉽다.
중화된 HBOC의 혈색소는 혈장단백질 내에 있다. 적혈구 내의 혈색소와 유사한 산소결합 능력이 있다. 중화되어 연결된 혈색소는 신장에서 쉽게 배설되지 않는다. (길이가 길어서..) HBOC는 또한 산소를 폐에서 조직으로 운반해 줌으로 빈혈로 인해서 부족해진 산소운반능력을 보상해준다. HBOC의 수혈은 빈혈로 인한 임상증상을 즉각적으로 완화 시켜준다. 그러나 용량이상이나 빠른 속도로 수혈할 경우 순환기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투여해야할 용량과 투여 속도에 대해서는 제품에 따라 다르다. 앞으로는 고객의 지불능력에 따라서 사용되는 혈액의 종류가 달라질 것이다. 비록 가격이 비싸기는 하겠지만 2년 이상 보관이 가능하고 혈액형에 관계없이 수혈 받을 수 있을 것이다.
Summary
수혈 혈액 내에는 많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수혈을 실시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위험을 정확히 인지해야 한다. 일반적인 수혈이나 특별한 상태의 수혈에서나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혈액이 부족하다. 빈혈은 혈액의 응고, 용혈, 골수에서 적혈구 생성이 안되어서 발생한다. 수혈을 실시하는 사람은 이러한 기초적인 임상 증상에 대해 인지해야하고,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양을 수혈해야 한다.
작성일 : 2001/03/29 15:04
사람의 의학에서처럼 수의학에서도 수혈에 따른 이점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헐액이나 그 구성 성분들은 순환기계통에 문제가 있는 동물이나, 응급상황에 처한 동물들에게 새로운 기원을 열어 주고 있다. 앞으로 수혈에 대한 기술이나 관심은 점차적으로 늘어갈 것이다.
technician들은 수혈을 실시함에 있어서 공혈자의 인자와 HBOC(hemoglobin-based oxygen carrier)가 수의학분야에서 새로운 인공혈액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이 글에서는 수혈의 역사와 채혈기술, 일반적인 개의 혈액에 의한 질병, 수혈이 가능한 경우 등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한다.
history of transfusion medicine
donor consideration
비록 수의학에서 혈액의 성분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또한 새로운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아직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여러 문제점 중 가장 큰 문제점은 혈액의 성분들을 분리하기 위한 전문적인 장비들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많은 수의학 연구소들은 공혈견과 설비, 전문적으로 분리된 성분들을 가지고 있다. 몇몇 상업적 동물 혈액은행은 애완견뿐만 아니라 실외견에 대한 자료도 있다. 혈액은 4∼5주마다 모아진다. 그러나 PCV는 공혈전에 검사한다. 실외 공혈견은 일반적으로 혈액을 가져올 때 검사하고, 실내 공혈견은 매일 또는 혈액을 뽑을 때마다 검사한다. 대부분의 채혈은 대략 40분간 행해진다. 모든 개는 그들이 처음으로 공혈하기전에 혈액형을 검사해야한다. 개들은 적어도 12개의 혈액형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계속적으로 새로운 발견자들에 의해서 증가하고 있다. 초기에는 그들의 혈통과 유사한 알파벳을 붙였었다. 그 뒤에 혈액형 type을 DEA(dog erythrocyte antigen)으로 고정되었다. 그리고 각각의 혈액형은 숫자로 붙였다. (ex. DEA-1........) 수의학에 있어서 공혈자들의 혈액형이 계속적으로 발견되는 것은 시약의 부족에서 야기된다. 가장 많은 공혈견의 혈액형은 DEA-1 이다. 하나의 kit로 검사를 해서 두 가지 type이 나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DEA-1.1과 DEA-1.2로 분류한다.
두 가지 시약 중 하나의 시약에만 반응하는 개의 혈액형은 A-positive로 정해진다. 시약에 반응하지 않는 것은 A-negative 이다. A-positive를 가지는 개는 거의 50%에 도달한다. 그리고 그들은 A-positive에 수혈 할 수 있다. 이때는 수혈견의 혈액형을 알아야 한다. 만약 수혈견의 혈액형을 알 수 없을 경우는 A-negative만 수혈 할 수 있다. DEA-7이 나왔을 경우(45%)는 간단히 수혈을 해서는 안된다. 이들은 다른 항원들과 약하게 반응하거나, 폭넓게 반응하거나, 강한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킨다. alloantibody는 다른 혈액 항원들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만약 공혈자의 혈액형이 A-negative로 알려져 있다면 응집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왜냐하면 혈액형의 type이 모두 알려져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혈을 받은 후 약 4일간은 교차응집반응이 일어나는가를 지켜보아야 한다. 공혈자의 적혈구와 수혈자의 혈장의 반응에 의해 (이전에 수혈 받았던 혈구에 의해서) 일어난다.
BLOOD COLLECTION
채혈을 할 때 공혈자는 옆쪽이나 앞쪽에 위치시킨다. 가능한 편안한 자세로 진정을 시킨다. 경정맥을 피부위로 노출시킨 후 채혈장비의 공기를 제거하고 멸균상태를 유지한다. 채혈은 16-gauge를 이용해서 한다. 공혈자는 table 위에 위치시키고 혈액bag은 저울 위에 놓고 무게를 측정 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수집한 혈액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서이다. 바늘을 경정맥에 넣은 후 지혈 겸자를 제거한다. Bag은 400∼495까지 채울 수 있다. (1 gram은 1㎖이다.) 그 이상이 되면 응고 방지제가 부족하다. bag이 가득 차면 바늘을 제거한다. 혈액 채혈선은 봉한 후 항응고제와 혈액을 섞어준다. 2∼3㎝간격으로 서너 군데를 봉한 후 교차반응 시험을 위해 혈액을 채취한다. 채혈이 끝난 뒤 보조자는 거즈로 채혈부위를 5분간 눌러주면 지혈이 된다. 채혈이 완료되면 공혈자에게 물과 비스켓을 준다.
다음 채혈 때는 반대쪽 경정맥을 이용한다. 공혈자는 채혈하기 전 4∼5주 동안 정상적인 PCV를 유지하는 개에서 채혈한다.
전혈은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성분으로 분리된다. PRC, FFP, FP, 응고 침전물, PRP등으로 분리된다.
1. packed red cell
채혈 후 혈액은 5000g로 15분간 원심분리 후 다시 5분간 방치한다. 추출기를 사용해서 혈장과 PRC로 분리한다. 이때 double bag system을 사용한다. 혈장은 천천히 압착하여 비운 뒤 보조 bag과 tube는 봉인한다. PRC는 4℃에서 30일간 보존이 가능하다.
2. fresh frozen plasma and frozen plasma
혈장은 채혈 후 6시간이 지난 뒤 PRC에서와 같이 분리한다. FFP는 -20℃에서 1년간 보존가능하고, 1년이 지난 후에는 냉동해서 4년간 보관 가능하다. FFP와 FP의 차이점은 몇 가지 응고 인자의 방출(제거)과 보관 후 1년이 지났을 때 응집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3. cryoprecipitate (응고 침전물)
응고 침전물은 제 Ⅷ 인자, von Willebrand's, fibrinogen, fibronectin등의 인자가 농축된 것이다. 혈액이 침전되었을 때 triple bag system을 사용해서 분리한다. PRC와 FFP는 이전상태로 준비되어있다. FFP를 냉각시킨 후 천천히 녹일 때 만들어진다.
Administration (수혈)
1. fresh whole blood
신선한 전혈은 혈소판, 적헐구, 응고인자를 요구하는 환축에게 필요하다. 신선한 전혈은 채혈한지 8∼12시간 사이의 혈액을 이야기한다. 이유는 혈소판이나 몇몇 응고인자는 약품 내에서 신속히 불활화되기 때문이다. 전혈이 수혈되었을 때 PCV는 같은 양의 PRC로부터 획득한 양의 절반 가량 증가한다.
2. packed red cells
PRC는 빈혈상태가 심한 동물에 공급한다. 빈혈상태에 따라 필요한 PRC의 양이 결정된다. 급격하게 많은 양의 혈액을 잃어버린 환축은 죽을 수도 있다. (PCV가 떨어지고 혈색소의 농축, 적혈구의 감소로 인해서이다.) 따라서 혈압은 어느 정도의 혈액이나 수액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이다. 선천적인 만성빈혈상태에 있는 환축에서 PCV는 전체적인 적혈구의 수치에 대해 알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다. 그러나 수혈은 환축의 PCV보다 실제로 보여지는 임상적 상태에 더 의존한다. PCV가 20% 부족한 개 (조직학적 증상도 함께 나타난다.)와 PCV는 유사하지만 조직학적 증상은 없는 개의 차이점으로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1㎖/㎏의 PRC가 증가하면 PCV가 1% 정도 낮아진다. 혈액을 공급해주는 속도는 다양하다. 수분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시간당 10㎖/㎏으로 공급한다. (이것은 전혈을 공급하는 경우이다.) 수혈속도는 초기에는 천천히 공급하고 환축이 이상반응 보일 때도 속도를 느리게 한다. 혈액은 수혈전에 체온과 같은 온도로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겨드랑이에 넣고 있거나 인큐베이터에서 10분간 데운다. PRC는 40℃에서 데워서는 안된다. 세포가 파괴되기 때문이다.
3. plasma and cryoprecipitate
거의 10∼20㎖/㎏의 FFP나 FP는 응고인자가 요구되거나 지속적으로 수혈을 계속해야할 경우 사용된다. 혈장은 혈장단백질의 원료로 사용 할 수 없다. (단백질 성분이 없기 때문이다.) 포도당이나 hetastarch는 혈장단백질의 좋은 원료이다. 응고 침전인자들은 하나의 단위 (unit)로 제품화되어서 나온다. 이것은 FFP 한 unit를 거꾸로 매달아 침전시키면 20∼30㎖의 침전물이 얻어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one unit는 10㎏에서 20㎏의 환축에 적당하다. 만일 필요하다면 더 추가한다.
monitoring and complications
면역학적 반응은 상반된 적혈구, 백혈구, 혈장성분에 의해 일어난다. 만약 수혈자가 공혈자의 적혈구등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다면 수혈된 적혈구는 혈관 내에서 파괴될 것이다. 그 결과 혈색소의 부족과 혈색소뇨증이 형성된다. 항원항체결합 반응은 수혈 후 20분 이내에 주로 발생한다. 수혈은 처음 반응이 있을 때 멈추어야 한다. 호흡곤란 증새가 보이는 환축은 산소를 공급시켜준다. 만약 열이 있는 경우는 혈액의 색깔을 관찰하고 gram staing, 배양, 감수성 시험을 해봐야 한다. 환축의 상태에 대한 관찰 (혈색소 결핍, 혈색소뇨증)을 계속해라. 만약 응집반응이 의심되면 즉각적으로 조치를 취해라.
용혈반응이 서서히 일어날 수 도 있다. 이것은 수혈된 적혈구중 생존하는 것의 수가 적어지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몇 일 동안 PCV치가 떨어지는 경우이다. 용혈반응이 없을 수도 있다. 이것은 부적절한 취급, 투약, 혈액의 잘못된 보관 때문이다. 어떤 때는 기침을 하거나 호흡곤란을 일으킨다. 이것은 수혈량이 넘었다는 징조다.
보관된 혈액과 수혈하는 혈액은 조심해서 다루어라 수액bag은 외부오염원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혈액과 그 성분은 수혈 set안에서 보관되어야 한다. 수혈하기 전에 체온과 같게 하는 것이 좋다. 혈액과 혈액성분은 약품이나 수분등의 잠재적 감염원에 노출되어서는 안된다. 건강한 개에서 산소를 가지는 조직은 심장, 폐, 순환혈액이다. 혈색소(적혈구내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일종)는 폐로부터 산소를 운반한다. 그리고 모세혈관에 있는 조직에 산소를 가져다준다. 빈혈이 있는 개에서 산소 해리 system은 적혈구의 부족에 의해서 방해받는다. 따라서 심장 모세 혈관계에서의 직접적인 혈액교환으로 보상한다. 산소공급상태가 좋지 않은 조직에서 세포는 무호흡 상태가 된다. 빈혈은 무호흡 상태를 보고 알 수 있다.
수혈을 이용한 치료는 빈혈이나, 혈액이 소실된 개의 상태를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개의 혈액형이 DEA-1.1 이고, 항원항체 반응이 확실할 경우 수혈한다. 대학이나 상업적인 혈액은행은 현대적인 수혈 장비를 가지고 있다. 대학병원이나 개인적인 혈액 은행들은 일반적인 동물병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공 혈액을 만들고 있다. 인공혈액은 재료의 한계가 있다. 그리고 응집반응이 일어날 우려가 많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인공수액에 대한 기대는 매우 크다.
HBOC는 개에서의 인공혈액의 자격이 있다. HBOC의 혈색소는 산소와 쉽게 해리 된다. 정상적인 동물에서 98%의 산소는 혈액이 운반하고 단지 2%만이 혈장 단백질에 의해 운반된다. HBOC에서의 산소 포화농도가 높은 곳은 혈장이다. 부과적으로 HBOC에서는 점도가 낮아서 모세 혈관과 조직에서 산소 해리가 더욱 쉽다.
중화된 HBOC의 혈색소는 혈장단백질 내에 있다. 적혈구 내의 혈색소와 유사한 산소결합 능력이 있다. 중화되어 연결된 혈색소는 신장에서 쉽게 배설되지 않는다. (길이가 길어서..) HBOC는 또한 산소를 폐에서 조직으로 운반해 줌으로 빈혈로 인해서 부족해진 산소운반능력을 보상해준다. HBOC의 수혈은 빈혈로 인한 임상증상을 즉각적으로 완화 시켜준다. 그러나 용량이상이나 빠른 속도로 수혈할 경우 순환기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투여해야할 용량과 투여 속도에 대해서는 제품에 따라 다르다. 앞으로는 고객의 지불능력에 따라서 사용되는 혈액의 종류가 달라질 것이다. 비록 가격이 비싸기는 하겠지만 2년 이상 보관이 가능하고 혈액형에 관계없이 수혈 받을 수 있을 것이다.
Summary
수혈 혈액 내에는 많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수혈을 실시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위험을 정확히 인지해야 한다. 일반적인 수혈이나 특별한 상태의 수혈에서나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혈액이 부족하다. 빈혈은 혈액의 응고, 용혈, 골수에서 적혈구 생성이 안되어서 발생한다. 수혈을 실시하는 사람은 이러한 기초적인 임상 증상에 대해 인지해야하고,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양을 수혈해야 한다.
출처 : ♡아이 러브 시츄♡
글쓴이 : ♡삐삐언니♡ 원글보기
메모 :
'애들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적이가 분류한 강아지에게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 2007. 2. 1 (0) | 2008.02.14 |
---|---|
[스크랩] 피부의 이상 (펌글) (0) | 2007.07.12 |
[스크랩] 애완견의 마음의 병 (0) | 2007.07.12 |
[스크랩] 개의 눈 질병 (0) | 2007.07.12 |
[스크랩] 대소변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애완견의 질병 (0) | 2007.07.12 |